-
Internet Explorer 인터넷(Internet)
: 컴퓨터로 연결하여 TCP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 / IP(Internet Protocol)라는
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.
미국 국적의 로버트 칸(Robert Kahn)과 빈튼 서프(Vinton Cerf)가 개발했습니다.
WWW (World Wide Web)
: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이용해 사람들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거미줄처럼 얼기설기 엮은 공간을 뜻하는 용어.
HTTP Protocol을 기반으로 HTML로 작성된 하이퍼텍스트 페이지를 웹 브라우저라는 특정한 프로그램으로 읽을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.
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인 'CERN'의 영국 국적 소프트웨어 공학자 팀 버너스 리(Tim Berners-Lee)가 개발했습니다.
www과 URL, HTTP 등을 고안해서 웹을 개발해내신 분입니다.
사진, 설명, 하이퍼링크 > 문서 : HTML
HTML과 이미지를 전송하는 프로토콜 : HTTP
회원가입 동적 웹페이지 등 추가 기능 ASP, JSP, PHP, Javascript, Cookie, DB 사용이 증가 > 보안 문제 발생
HTTP (Hyper Text Transfer protocol)
: 하이퍼텍스트를 빠르게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일종, Server와 Client의 사이에서 어떻게 메시지를 교환할지를 정해놓은 규칙으로
80번 포트를 사용하며 구조는 요청(Request)과 응답(Response)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그리고 상태가 없는(Stateless) 프로토콜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.
- Stateless(비연결유지 프로토콜) : 이미지, 텍스트 등을 다운로드하면 연결이 끊김(연결 상태를 유지하지 않음)
- Stateful(연결유지 프로토콜) : Telnet, SSH, FTP
예를 들면 Client가 하이퍼링크를 클릭(요청)하면 링크에 접속되며 새로운 페이지가 열린다(응답)으로 예를 들 수 있으며
사이트의 주소 맨 앞의 http://는 이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정보를 교환하겠다는 표시입니다.
구조 Version
- 1996년 HTTP/1.0 파일 다운로드할 때마다 연결 설정 해제를 반복
- 1999년 HTTP/1.1 한 번의 연결에 여러 개의 파일을 다운로드
- 2015년 HTTP/2 헤더 압축(Binary), 파이프라인, Server Push 기능, Google의 SPDY 기술 기반
HTTPS(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)
: TLS를 사용해 암호화된 연결을 하는 HTTP를 HTTPS라고 부릅니다. - HTTP가 http://로 시작한다면, HTTPS는 https://로 시작되며, 포트는 80번이 아닌 443번을 사용합니다.
TLS (Transport Layer Security)
: SSL (Secure Sockets Layer)에 기반한 인터넷에서의 정보를 암호화해서 송수신하는 프로토콜.
'Securit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ackdoor, Trojan Horse, WebDAV, Cadaver, Bee-Box - 백도어, 트로이 목마 WebDAV, Cadaver 사용 Bee-Box 문제 풀이 (0) 2022.05.12 SQL Injection, HTML, Windows Server 2003 Hacking - SQL 인젝션, HTML, 윈도우 서버 2003 해킹 (0) 2022.05.09 attack using Metasploitable2 - 메타스플로잇을 이용한 공격 (0) 2022.05.04 Wireshark packet analysis - 와이어샤크 패킷 분석 (0) 2022.05.04 VMware Error - 비정상적인 PC 종료로 인한 부팅 불가 (0) 2022.05.03